신작 게임
게임 뉴스
추천/리뷰/공략
게임
많이 검색된 키워드
#
1
#
3
#
2
#
2024
#
2010
검색조건
제목+내용
제목
내용
회원아이디
이름
and
or
로그인
회원가입
새글
최근 365일 이내 등록된 새글 이에요.
최대 3배, 확률형 아이템 징벌적 손해배상법 국회 통과
▲확률형 아이템 관련 징벌적 손해배상 등을 담은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대한 국회 본회의 투표 결과 (자료출처: 국회방송 생중계 갈무리)확률형 아이템에 관련해 법원에서 인정된 손해액의 최대 3배까지 배상액으로 정할 수 있는 '징벌적 손해배상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국회는 31일 2024년 마지막 본회의를 열고 여러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 중에는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도 포함되어 있다. 이 법은 김승수 의원, 이기헌 의원, 강유정 의원이 각각 대표발의한 게임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 3건을 병합해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본회의로 올린 것이다. 본회의에서 이 법은 재석 288인 중 찬성 277인, 기권 5인으로 통과됐다. 찬성율은 98.23%다.법의 주요 내용은 세 가지다. ▲ 게임사가 확률 정보를 표시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표시해 유저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지도록 한다. ▲ 게임사 고의에 의한 유저 손해를 3배까지 배상하도록 한다. ▲ 게임사의 고의·과실이 없었다는 사실을 게임사가 증명하도록 입증책임을 전환한다.앞서 이야기한 부분은 '유저 손해를 3배까지 배상한다'는 것은 법원에서 인정된 손해액을 기준으로 한다. 법원은 배상액을 정할 때 ▲ 게임사가 고의 또는 손해 발생 우려를 인식한 정도 ▲위반행위로 인해 유저가 입은 피해 규모 ▲위반행위로 인해 게임사가 취득한 경제적 이익 ▲위반행위 기간 및 횟수 ▲위반행위에 따른 벌금 ▲게임사의 피해구제 노력 정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법원에서 게임사 고의로 피해가 발생했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손해액을 입증하기 어려울 경우, 변론 전체 취지와 증거조사 결과에 의해 인정된 모든 사정을 종합해 상당한 손해액을 인정할 수 있다는 내용도 명시됐다.이 법으로 전반적으로 확률형 아이템 관련 사건에서 게임사의 입증책임과 배상책임이 강화됐다. 확률형 아이템 확률 정보 공개 제도가 작년에 시행된 가운데, 관련 소송과 배상에 대한 법도 보강되며 유저의 권익보호는 더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게임업계 입장에서는 게임시장 메인 상품으로 자리한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며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관련 법안을 대표발의한 김승수 의원은 '일부 게임사의 기만행위와 불투명한 정보 공개로 게임이용자가 피해를 보는 일이 더 이상 발생해서는 안 된다. 많은 게임 이용자가 바라던 게임산업법이 이제라도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다행'이라며 '앞으로도 유관부처와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게임 이 용자 권익 보호에 앞장서겠다. 아울러 게임산업 내 투명하고 공정한 문화가 정착되어 게임산업이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롤 2025 시즌 오프닝 이벤트, 오는 10일 열린다
▲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시즌 오프닝 이벤트 대표 이미지 (사진제공: LCK)피크민 장난감프로 선수들의 경기를 통해 2025년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변경점을 알아볼 수 있는 이벤트 대회가 열린다.'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LoL)' e스포츠 한국 프로 리그를 주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LCK)는 오는 10일(금) 오후 6시부터 서울 종로구 롤파크에 위치한 LCK 아레나에서 이벤트 대회인 '리그 오브 레전드 2025년 시즌 1: 녹서스로의 초대 시즌 오프닝' 이벤트를 개최한다.2025년 1월 LoL 클라이언트 게임 서비스와 LCK컵 등 e스포츠 대회가 모두 녹서스 테마로 펼쳐진다. 팬들은 오프닝 이벤트를 통해 LCK 프로 선수들이 플레이하는 모습을 보면서 2025 첫 번째 시즌을 맞아 확 달라진 소환사의 협곡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이번 오프닝 이벤트는 2024년 시즌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같은 포지션의 선수들이 한 팀을 이뤄 다른 포지션 선수들로 구성된 팀과 대결하는 '소위 라인 CK' 방식으로 진행된다. 탑 라이너, 정글러, 미드 라이너, 원거리 딜러, 서포터, 5개의 포지션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대거 출전, 팀이나 개인의 명예가 아닌 오직 '포지션'의 명예를 놓고 대결을 펼친다. 예를 들어 미드 라이너 포지션인 '페이커' 이상혁, '쵸비' 정지훈, '제카' 김건우 등으로 구성된 5명이 한 팀을 이룬 뒤 정글러 포지션의 '오너' 문현준, '피넛' 한왕호, '캐니언' 김건부 등으로 구성된 5명과 대결하는 방식이다.<svg style="border-block: initial !important; border-inline: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end-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end-radius: initial !important; overflow-block: initial !important; overflow-inline: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block: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inline: initial !important; 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inset-block: initial !important; inset-inline: initial !important; block-size: initial !important; min-block-size: initial !important; max-block-size: initial !important; 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in-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ax-inline-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block-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inline-size: initial !important; background: initial !important; background-blend-mode: initial !important; border: 0px !important; border-radius: initial !important; box-decoration-break: initial !important; -moz-float-edge: initial !important; display: inline !important; position: relative !important; float: none !important; clear: initial !important; vertical-align: initial !important; baseline-source: initial !important; overflow: initial !important; overflow-anchor: initial !important; transform: initial !important; rotate: initial !important; scale: initial !important; translate: initial !important; offset: initial !important; 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scroll-snap-align: initial !important; scroll-snap-type: initial !important; scroll-snap-stop: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isolation: initial !important; break-after: initial !important; break-before: initial !important; break-inside: initial !important; resiz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origin: initial !important; backface-visibility: initial !important; transform-box: initial !important; transform-style: initial !important; transform-origin: initial !important; contain: initial !important; content-visibility: initial !important; container: initial !important; appearance: initial !important; -moz-orient: initial !important; will-change: initial !important; shape-image-threshold: initial !important; shape-margin: initial !important; shape-outside: initial !important; touch-action: initial !important; -webkit-line-clamp: initial !important; scrollbar-gutter: initial !important; zoom: initial !important; columns: initial !important; column-fill: initial !important; column-rule: initial !important; column-span: initial !important; content: initial !important; counter-increment: initial !important; counter-reset: initial !important; counter-set: initial !important; opacity: initial !imp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장비와 실력으로 극복, '검은사당' 신규 난이도 추가
▲ 검은사막 대표 이미지 (사진제공: 펄어비스)피크민 장난감아침의 나라에 등장하는 우두머리 도전 콘텐츠 '검은사당 동해도편'에 신규 난이도가 등장했다.펄어비스는 31일, 검은사막 ‘검은사당 동해도편'에 신규 난이도 팔·구·십재시니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검은사당은 아침의 나라 우두머리 도전 콘텐츠로, 이번 업데이트에는 모험가 혼자 우두머리를 공략하는 '산군' 우두머리에 신규 난이도가 추가됐다.팔·구·십재시니는 일정 수준 이상의 장비 능력치를 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중 십재시니는 장비 능력치와 실력을 갖춘 모험가만 도전할 수 있는 난이도다. ‘빛의 보옥’을 활용한 능력치 보정 효과를 제공했던 칠재시니와 달리 팔·구·십재시니는 모험가가 보유 중인 장비 능력치의 영향을 받는다.이번에 추가된 신규 난이도를 공략하면 ‘칼페온 연회’에서 처음 선보인 신규 환상마 ‘볼타리온’의 흔적도 찾을 수 있다. 함께 산군 팔재시니를 공략하면 확률에 따라 단의 장갑이나 광: 데보레카 귀걸이 등의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검은사막 '검은사당 신규 난이도 추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검은사막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게임 분쟁조정, 콘텐츠 전문기관에서 처리할 수 있다
▲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 (사진제공: 강유정 의원실)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대표 발의한 콘텐츠산업진흥법 개정안이 3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 법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는 콘텐츠산업의 공정한 유통환경 조성을 위해 2011년 설립된 정부 산하 기구다. 게임, 도서,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사업자 간 분쟁이나 사업자와 이용자 간 분쟁 조정을 담당하고 있다.이번 개정안은 급증하는 콘텐츠 분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실제로 작년에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에 접수된 신고 건수는 1만 5,177건에 달했고, 이 중 게임 분야가 1만 3,335건(88%)을 차지했다. 해외 게임사의 일방적인 서비스 종료, 중국의 '게임 동북공정' 논란, 이용자들의 '트럭 시위' 등으로 분쟁 조정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통과된 법안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위원장 1명을 포함해 위원 수를 10명에서 50명으로 늘렸다. 그간 10명이 채 되지 않는 사무국 규모와 게임 및 음악,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등 각 콘텐츠 분야 전문 위원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이어서 위원회가 당사자에게 합의를 권고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합의 내용에 대해서는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효력을 부여했다. 구체적으로 위원회는 분쟁 신청 취지에 반하지 않는 한도에서 직권으로 조정을 갈음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주목할 만한 점은 집단분쟁조정 기능이 새롭게 도입된다는 것이다. 그동안은 다수의 게임 이용자가 피해를 입더라도 이를 전문적으로 다룰 기관이 없어 한국소비자원 등에서 처리했다. 그러나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에 집단분쟁조정 기능이 생기며 콘텐츠 전문 분쟁조정기구에서 관련 업무를 소화할 수 있게 됐다.법안을 대표발의한 강유정 의원은 '점점 더 고도화되고 있는 콘텐츠 분야의 분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조정기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법 개정으로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가 명실상부한 콘텐츠 분쟁 전문기구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서 강 의원은 '특히 위원 수 확대와 집단분쟁조정 기능 도입으로 분쟁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이용자들의 권익 보호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콘텐츠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제도적 보완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오늘의 스팀] 발라트로의 전성기는 ‘바로 지금’
▲ 발라트로가 자체 최고 동시접속자 수 기록을 경신했다 (사진 출처: 게임 스팀 페이지)피크민 장난감<svg style="border-block: initial !important; border-inline: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end-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end-radius: initial !important; overflow-block: initial !important; overflow-inline: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block: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inline: initial !important; 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inset-block: initial !important; inset-inline: initial !important; block-size: initial !important; min-block-size: initial !important; max-block-size: initial !important; 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in-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ax-inline-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block-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inline-size: initial !important; background: initial !important; background-blend-mode: initial !important; border: 0px !important; border-radius: initial !important; box-decoration-break: initial !important; -moz-float-edge: initial !important; display: inline !important; position: relative !important; float: none !important; clear: initial !important; vertical-align: initial !important; baseline-source: initial !important; overflow: initial !important; overflow-anchor: initial !important; transform: initial !important; rotate: initial !important; scale: initial !important; translate: initial !important; offset: initial !important; 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scroll-snap-align: initial !important; scroll-snap-type: initial !important; scroll-snap-stop: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isolation: initial !important; break-after: initial !important; break-before: initial !important; break-inside: initial !important; resiz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origin: initial !important; backface-visibility: initial !important; transform-box: initial !important; transform-style: initial !important; transform-origin: initial !important; contain: initial !important; content-visibility: initial !important; container: initial !important; appearance: initial !important; -moz-orient: initial !important; will-change: initial !important; shape-image-threshold: initial !important; shape-margin: initial !important; shape-outside: initial !important; touch-action: initial !important; -webkit-line-clamp: initial !important; scrollbar-gutter: initial !important; zoom: initial !important; columns: initial !important; column-fill: initial !important; column-rule: initial !important; column-span: initial !important; content: initial !important; counter-increment: initial !important; counter-reset: initial !important; counter-set: initial !important; opacity: initial !important; box-shadow: none !important; clip: initial !important; filter: initial !important; backdrop-filter: initial !important; mix-blend-mode: initial !important; font: initial !important; font-synthesis: initial !important; font-palette: initial !important; math-depth: initial !important; math-style: initial !important; visibility: initial !important; writing-mode: initial !important; text-orientation: initial !important; print-color-adjust: initial !important; image-rendering: initial !important; image-orientation: initial !important; dominant-baseline: initial !important; text-anchor: initial !important; color-interpolation: initial !important; color-interpolation-filters: initial !important; fill: rgb(26, 115, 232) !important; fill-opacity: initial !important; fill-rule: initial !important; shape-rendering: initial !important; stroke: initial !important; stroke-width: initial !important; stroke-linecap: initial !important; stroke-linejoin: initial !important; stroke-miterlimit: initial !important; stroke-opacity: initial !important; stroke-dasharray: initial !important; stroke-dashoffset: initial !important; clip-rule: initial !important; marker: initial !important; paint-order: initial !important; border-collapse: initial !important; empty-cells: initial !important; caption-side: initial !important; border-spacing: initial !important; color: #000; text-transform: initial !important; hyphens: initial !important; -moz-text-size-adjust: initial !important; text-indent: initial !important; overflow-wrap: initial !important; word-break: initial !important; text-justify: initial !important; text-align-last: initial !important; text-align: initial !important; letter-spacing: initial !important; word-spacing: initial !important; white-space: initial !important; text-shadow: initial !important; text-emphasis: initial !important; text-emphasis-position: initial !important; tab-size: initial !important; line-break: initial !important; -webkit-text-fill-color: #000; -webkit-text-stroke: initial !important; ruby-align: initial !important; ruby-position: initial !important; text-combine-upright: initial !important; text-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언어 문제로 中 유저들과 언쟁한 인디게임, 비추 폭격
▲ 인디게임 'BZZZT'의 최근 평가가 큰 폭으로 내려갔다 (사진출처: 게임 스팀 페이지)피크민 장난감<svg style="border-block: initial !important; border-inline: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end-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end-radius: initial !important; overflow-block: initial !important; overflow-inline: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block: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inline: initial !important; 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inset-block: initial !important; inset-inline: initial !important; block-size: initial !important; min-block-size: initial !important; max-block-size: initial !important; 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in-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ax-inline-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block-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inline-size: initial !important; background: initial !important; background-blend-mode: initial !important; border: 0px !important; border-radius: initial !important; box-decoration-break: initial !important; -moz-float-edge: initial !important; display: inline !important; position: relative !important; float: none !important; clear: initial !important; vertical-align: initial !important; baseline-source: initial !important; overflow: initial !important; overflow-anchor: initial !important; transform: initial !important; rotate: initial !important; scale: initial !important; translate: initial !important; offset: initial !important; 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scroll-snap-align: initial !important; scroll-snap-type: initial !important; scroll-snap-stop: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isolation: initial !important; break-after: initial !important; break-before: initial !important; break-inside: initial !important; resiz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origin: initial !important; backface-visibility: initial !important; transform-box: initial !important; transform-style: initial !important; transform-origin: initial !important; contain: initial !important; content-visibility: initial !important; container: initial !important; appearance: initial !important; -moz-orient: initial !important; will-change: initial !important; shape-image-threshold: initial !important; shape-margin: initial !important; shape-outside: initial !important; touch-action: initial !important; -webkit-line-clamp: initial !important; scrollbar-gutter: initial !important; zoom: initial !important; columns: initial !important; column-fill: initial !important; column-rule: initial !important; column-span: initial !important; content: initial !important; counter-increment: initial !important; counter-reset: initial !important; counter-set: initial !important; opacity: initial !important; box-shadow: none !important; clip: initial !important; filter: initial !important; backdrop-filter: initial !important; mix-blend-mode: initial !important; font: initial !important; font-synthesis: initial !important; font-palette: initial !important; math-depth: initial !important; math-style: initial !important; visibility: initial !important; writing-mode: initial !important; text-orientation: initial !important; print-color-adjust: initial !important; image-rendering: initial !important; image-orientation: initial !important; dominant-baseline: initial !important; text-anchor: initial !important; color-interpolation: initial !important; color-interpolation-filters: initial !important; fill: rgb(26, 115, 232) !important; fill-opacity: initial !important; fill-rule: initial !important; shape-rendering: initial !important; stroke: initial !important; stroke-width: initial !important; stroke-linecap: initial !important; stroke-linejoin: initial !important; stroke-miterlimit: initial !important; stroke-opacity: initial !important; stroke-dasharray: initial !important; stroke-dashoffset: initial !important; clip-rule: initial !important; marker: initial !important; paint-order: initial !important; border-collapse: initial !important; empty-cells: initial !important; caption-side: initial !important; border-spacing: initial !important; color: #000; text-transform: initial !important; hyphens: initial !important; -moz-text-size-adjust: initial !important; text-indent: initial !important; overflow-wrap: initial !important; word-break: initial !important; text-justify: initial !important; text-align-last: initial !important; text-align: initial !important; letter-spacing: initial !important; word-spacing: initial !important; white-space: initial !important; text-shadow: initial !important; text-emphasis: initial !important; text-emphasis-position: initial !important; tab-size: initial !important; line-break: initial !important; -webkit-text-fill-color: #000; -webkit-text-stroke: initial !important; ruby-align: initial !important; ruby-position: initial !important; text-combine-upright: initial !important; text-renderin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업데이트로 ‘벽돌’된 메타 퀘스트, 무료 교체해준다
▲ 메타 퀘스트 2, 3, 3S 벽돌 증상 관련 공지 (사진출처: 메타 공식 홈페이지)피크민 장난감V72 최신 업데이트로 인해 ‘벽돌’ 상태가 된 하드웨어에 대한 후속조치가 시작된다.메타는 지난 30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V72 업데이트 피해자에 대한 조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메타 퀘스트 3S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져, 메타 퀘스트 2와 메타 퀘스트 3 이용자에게는 별도의 조치가 이루어진다.우선 메타 퀘스트 3S로 피해를 입은 유저들에게는 메타 퀘스트 3S 무료 교체 서비스와 함께 호라이즌 스토어 크레딧을 지원한다. 아울러 보증기간이 이미 완료된 메타 퀘스트 2 및 3 사용자는 메타 퀘스트 지원팀에 연락할 경우 리퍼비시와 함께 스토어 크레딧을 제공한다는 소식도 확인됐다.▲ 메타 퀘스트 3S 교체 관련 공지 (사진출처: 메타 공식 홈페이지)한편, 이번 사태는 최근 추가된 V72 업데이트를 실시할 경우 기기를 가리지 않고 무작위적으로 ‘벽돌’ 상태가 되면서 가시화됐다. 이에 연휴기간 동안 메타 퀘스트 기기를 이용하지 못하는 유저들이 늘어났으며, 메타 측에 빠른 개선 및 보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져 왔다.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마블 라이벌즈, 프레임 낮은 PC에선 영웅 성능 저하
▲ 마블 라이벌즈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게임 공식 홈페이지)12월에 출시되어 히어로 슈팅 관심작으로 떠오른 마블 라이벌즈에 예상치 못한 ‘페이 투 윈’ 논란이 발생했다. 게임 내 유료 아이템 판매가 아니라 프레임 레이트가 낮으면 영웅 성능이 낮아지는 버그가 발생해 유저 사이에서 ‘고사양 PC를 맞춰야 이기는 게임이냐’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관련 문제는 마블 라이벌즈에 등장하는 영웅 중 스타로드, 울버린, 닥터 스트레인지, 매직, 스파이더맨 등 여러 영웅에서 발생하고 있다. 고프레임과 저프레임을 비교하면 동일한 스킬과 움직임에서도 프레임 레이트가 낮은 쪽이 대미지가 약해지거나, 사정거리가 줄거나, 공격이 더 느리게 실행되는 등 플레이 효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블 라이벌즈 프레임별 비교 영상 (영상출처: Hurby 유튜브 채널) 높은 프레임으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고사양 PC를 맞추면 앞서 이야기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PC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기에 유저들은 이 부분을 페이 투 윈에 빗대어 부르고 있다.이번 문제는 동일한 기기로 플레이하는 콘솔보다는 유저마다 사양이 다른 PC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마블 라이벌즈는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기에 사실상 모든 게이머에 영향을 미친다. PC 사양 격차로 영웅의 성능이 플레이에서 체감될 정도로 달라지는 부분은 중대한 버그나 오류이기에 빠른 수정이 요구된다.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웜즈’를 만든 마틴 브라운, 57세 나이로 별세
피크민 장난감▲ 팀17 공동 창립자 마틴 브라운 (사진출처: 뉴 스타 게임즈 공식 X)팀17의 공동 창립자이자 ‘웜즈’ 시리즈 개발을 지휘한 마틴 브라운(Martyn Brown)이 지난 28일(현지 시각) 향년 5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마틴 브라운은 지난 1990년 데비 베스트윅, 마이클 로빈슨과 함께 팀17을 공동 창립했으며, ‘웜즈’, ‘에일리언 브리드’ 시리즈를 포함 50개의 비디오게임 타이틀을 개발 및 퍼블리싱했다. 팀17은 팀7과 17비트 소프트웨어가 합쳐지며 설립된 개발사로, ‘드렛지’, ‘오버쿡드’, ‘블라스퍼머스’, ‘네온 어비스’ 등 좋은 평가를 받은 중소규모 타이틀을 개발 및 퍼블리싱했다.마틴 브라운이 개발에 참여한 팀17의 첫 타이틀 에일리언 브리드는 영화 ‘에일리언’에 영감을 받아 제작된 공포 액션게임으로, 1991년 출시되며 회사의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후 마틴 브라운이 프로듀서로 참여한 1995년 웜즈는 자유로운 이동, 다양한 무기, 귀여운 캐릭터 등으로 게이머 및 평단에서 큰 호평을 받았으며, 2020년 ‘웜즈 럼블’까지 약 20년간 신작이 이어졌다.마틴 브라운은 약 15년간 팀17에서 근무했으며, 이후 2011년 회사를 떠나 컨설팅 회사인 인사이트 포 하이어를 설립했다. 이후 레트로풍 스포츠게임 전문 개발사 뉴 스타 게임즈에서 사업 개발을 담당했으며, 이후 2012년에는 뉴 스타 게임즈 주요 협력사 중 하나인 파이브 에이스 퍼블리싱을 공동 창립했다.마틴 브라운의 아들 잭 브라운은 해외 외신에 보낸 성명에서 “마틴은 일련의 뇌졸중과 오랜 싸움 끝에 가족들에게 둘러싸여 잠든 가운데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라며, “그는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며 자신의 방식대로 우리와 작별했다”고 전했다.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5 대 5 메카닉 전략게임, 퓨저니스트 테스트 시작
피크민 장난감▲ 퓨저니스트 대표 이미지 (사진제공: 퓨전인터렉티브)퓨전인터렉티브(Fusion Interactive)가 31일, 자사가 개발하고 직접 서비스 예정인 턴제 메카닉 게임 '퓨저니스트(Fusionist)' 글로벌 유저 테스트를 시작했다. 테스트 참여 희망자는 스팀에서 게임 다운로드 후 테스트 코드를 발급받으면 참여 가능하다.이번 테스트는 내년 1월 12일까지 2주 동안 진행된다. 퓨전인터렉티브는 충분한 기간 동안 테스트를 진행하여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반응을 자세하게 살피고, 트래픽 증가에 따른 서버 안정성 등을 꼼꼼하게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정식 출시 때까지 완성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이용자 피드백을 적극 수용할 예정이다.퓨저니스트는 수많은 메카닉 중 5개로 구성된 팀을 활용해 메카닉 전투를 즐기는 게임이다. 메카닉을 직접 제작하고 업그레이드하면서 자신만의 메카닉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클래스 상성과 스킬 특성, 원소 능력 등을 이용하여 전략적인 메카닉 전투를 즐길 수 있다.특히 유니티 엔진과 HDRP(고화질 렌더 파이프라인) 기술 기반의 비주얼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배경을 비롯해 메카닉 전투를 섬세하게 구현했다. 또한 다양한 행성을 탐험하거나 적군 부대를 처치하며 최대치 보상을 노리는 PvE 모드부터, 또는 랭킹에 따라 각종 보상을 지급하는 PvP 모드 등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인다.<span style="border-block: initial !important; border-inline: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end-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end-radius: initial !important; overflow-block: initial !important; overflow-inline: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block: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inline: initial !important; 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inset-block: initial !important; inset-inline: initial !important; block-size: initial !important; min-block-size: initial !important; max-block-size: initial !important; 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in-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ax-inline-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block-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inline-size: initial !important; background: initial !important; background-blend-mode: initial !important; border: initial !important; border-radius: initial !important; box-decoration-break: initial !important; -moz-float-edge: initial !important; display: initial !important; position: relative !important; float: initial !important; clear: initial !important; vertical-align: initial !important; baseline-source: initial !important; overflow: initial !important; overflow-anchor: initial !important; transform: initial !important; rotate: initial !important; scale: initial !important; translate: initial !important; offset: initial !important; 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scroll-snap-align: initial !important; scroll-snap-type: initial !important; scroll-snap-stop: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isolation: initial !important; break-after: initial !important; break-before: initial !important; break-inside: initial !important; resiz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origin: initial !important; backface-visibility: initial !important; transform-box: initial !important; transform-style: initial !important; transform-origin: initial !important; contain: initial !important; content-visibility: initial !important; container: initial !important; appearance: initial !important; -moz-orient: initial !important; will-change: initial !important; shape-image-threshold: initial !important; shape-margin: initial !important; shape-outside: initial !important; touch-action: initial !important; -webkit-line-clamp: initial !important; scrollbar-gutter: initial !important; zoom: initial !important; columns: initial !important; column-fill: initial !important; column-rule: initial !important; column-span: initial !important; content: initial !important; counter-increment: initial !important; counter-reset: initial !important; counter-set: initial !important; opacity: initial !important; box-shadow: initial !important; clip: initial !important; filter: initial !important; backdrop-filter: initial !important; mix-blend-mode: initial !important; font-family: inherit !important; font-style: initial !important; font-variant: initial !important; font-weight: inherit !important; font-size: inherit !important; font-size-adjust: initial !important; font-synthesis: initial !important; font-stretch: initial !important; font-kerning: initial !important; font-feature-settings: initial !important; font-variation-settings: initial !important; font-language-override: initial !important; font-optical-sizing: initial !important; font-palette: initial !important; math-depth: initial !important; math-style: initial !important; line-height: initial !important; visibility: inherit !important; writing-mode: inherit !important; text-orientation: inherit !important; print-color-adjust: initial !
console 2025-02-06
게임뉴스
진·삼국무쌍 신작 온다, 새해 밝혀줄 1월 기대작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024년이 어느덧 저물었습니다. 2024년 12월에는 아직까지도 많은 유저가 즐기고 있는 패스 오브 엑자일 2와 마블 라이벌즈부터, 뛰어난 원작 고증으로 호평받은 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 등 여러 신작들이 게이머를 즐겁게 해줬죠. 2025년 1월 역시 오랜만에 돌아오는 시리즈 후속작 진·삼국무쌍 오리진을 필두로 다양한 기대작이 출격을 앞두고 있는데요, 2025년 을사년의 시작을 알릴 신작들을 한 데 모아봤습니다.피크민 장난감 ▲ 2025년 1월 게임 기대작 (표: 게임메카 제작)<span style="border-block: initial !important; border-inline: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end-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end-radius: initial !important; overflow-block: initial !important; overflow-inline: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block: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inline: initial !important; 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inset-block: initial !important; inset-inline: initial !important; block-size: initial !important; min-block-size: initial !important; max-block-size: initial !important; 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in-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ax-inline-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block-size: initial !important; contain-intrinsic-inline-size: initial !important; background: initial !important; background-blend-mode: initial !important; border: initial !important; border-radius: initial !important; box-decoration-break: initial !important; -moz-float-edge: initial !important; display: initial !important; position: relative !important; float: initial !important; clear: initial !important; vertical-align: initial !important; baseline-source: initial !important; overflow: initial !important; overflow-anchor: initial !important; transform: initial !important; rotate: initial !important; scale: initial !important; translate: initial !important; offset: initial !important; 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scroll-snap-align: initial !important; scroll-snap-type: initial !important; scroll-snap-stop: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 initial !important; isolation: initial !important; break-after: initial !important; break-before: initial !important; break-inside: initial !important; resiz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 initial !important; perspective-origin: initial !important; backface-visibility: initial !important; transform-box: initial !important; transform-style: initial !important; transform-origin: initial !important; contain: initial !important; content-visibility: initial !important; container: initial !important; appearance: initial !important; -moz-orient: initial !important; will-change: initial !important; shape-image-threshold: initial !important; shape-margin: initial !important; shape-outside: initial !important; touch-action: initial !important; -webkit-line-clamp: initial !important; scrollbar-gutter: initial !important; zoom: initial !important; columns: initial !important; column-fill: initial !important; column-rule: initial !important; column-span: initial !important; content: initial !important; counter-increment: initial !important; counter-reset: initial !important; counter-set: initial !important; opacity: initial !important; box-shadow: initial !important; clip: initial !important; filter: initial !important; backdrop-filter: initial !important; mix-blend-mode: initial !important; font-family: inherit !important; font-style: initial !important; font-variant: initial !important; font-weight: inherit !important; font-size: inherit !important; font-size-adjust: initial !important; font-synthesis: initial !important; font-stretch: initial !important; font-kerning: initial !important; font-feature-settings: initial !important; font-variation-settings: initial !important; font-language-override: initial !important; font-optical-sizing: initial !important; font-palette: initial !important; math-depth: initial !important; math-style: initial !important; line-height: initial !important; visibility: inherit !important; writing-mode: inherit !important; text-orientation: inherit !important; print-color-adjust: initial !important; image-rendering: initial !important; image-orientation: initial !important; dominant-baseline: initial !important; text-anchor: initial !important; color-interpolation: initial !important; color-interpolation-filters: initial !important; fill: initial !important; fill-opacity: initial !important; fill-rule: initial !important; shape-rendering: initial !important; stroke: initial !important; stroke-width: initial !important; stroke-linecap: initial !important; stroke-linejoin: initial !important; stroke-miterlimit: initial !important; stroke-opacity: initial !important; stroke-dasharray: initial !important; stroke-dashoffset: initial !important; clip-rule: initial !important; marker: initial !important; paint-order: initial !important; border-collapse: initial !important; empty-cells: initial !important; caption-side: initial !important; border-spacing: initial !important; color: #000; text-transform: initial !important; hyphens: initial !important; -moz-text-size-adjust: initial !important; text-indent: initial !important; overflow-wrap: initial !important; word-break: initial !important; text-justify: initial !importa
console 2025-02-05
게임뉴스
콘코드 미포함, 메타크리틱 2024 최악의 게임 10선
▲ 메타크리틱 선정 2024 최악의 게임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메타크리틱 공식 홈페이지)피크민 장난감2025년 메타크리틱 최악의 게임은 23점을 기록한 ‘유토피아 시티’로 확인됐다.메타크리틱은 지난 17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24년 최악의 게임 TOP 10을 선정했다. 선정 대상은 2024년 내 출시된 모든 게임으로, 전체 플랫폼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게임이 선정됐다. 메타스코어 집계 최저 기록은 평론가 리뷰 4개 이상으로, 리뷰가 4개 미만인 타이틀은 제외됐다.먼저 10, 9, 8위에는 각각 48, 47, 46점을 기록한 메탈슬러그 어택 리로디드(NS), 루니 툰즈: 워키 월드 오브 스포츠(PS5), 포’에드: 데피니티브 에디션(PC)가 자리했다. 6위 스트레인저 띵즈 VR(메타 퀘스트)와, 5위 주술회전: 전화향명(PS5)은 동점인 44점을 기록했다. 4위는 푸드 트럭 시뮬레이터(XBO)가 43점이라는 점수로 차지했다.▲ 해피펀랜드 스크린샷 (사진출처: 메타크리틱 공식 홈페이지)3위는 PS VR2로 출시된 VR 호러 어드벤처 해피펀랜드가 차지했다. 해피펀랜드는 2시간 가량이 소요되는 짧은 플레이타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버그와 물리엔진 오류를 선사하며 혹평을 받아 41점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위에는 모바일로 출시된 데빌 메이 크라이: 피크 오브 컴뱃이 선정됐다. 지나친 인앱 구매 유도와 완성도 낮은 스토리 등이 혹평을 받으며 3위와 같은 41점을 기록했다.1위에는 PC판 유토피아 시티가 선정됐다. 유토피아 시티는 2006년 유럽에서 출시된 바 있는 SF FPS다. 그러나 2024년 11월 갑작스레 스팀에 출시되며 다시 한 번 관심을 받았다. 최초 출시 당시에도 혹평을 받은 바 있지만, 재출시를 통해 다시 한 번 비판의 대상이 됐다. 이에 23점이라는 기록적인 점수로 1위에 자리했다.▲ 유토피아 시티 스크린샷 (사진출처: 메타크리틱 공식 홈페이지)한편, 2024년 출시작 중 메타크리틱 최고 점수 게임은 94점을 기록한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아스트로봇, 메타포: 리판타지오다.
console 2025-02-05
게임뉴스
옛 중국의 삶 그린 오픈월드 게임, 더 버스틸링 월드
▲ 더 버스틸링 월드 스크린샷 (사진출처: 스팀 공식 페이지)피크민 장난감한적하게 살아가는 농부부터 도시를 끌어가는 정치가까지, 자유도 높은 게임성을 앞세운 중국 기반 오픈월드 신작이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옛 중국의 삶을 오픈월드에 옮겨놓은 듯한 느낌을 앞세운 ‘더 버스틸링 월드(The Bustling World)’다.더 버스틸링 월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지난 30일 게임 공식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트레일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당나라 느낌이 물씬 나는 게임 속 세계를 탐색하며 하고 싶은 플레이를 이어간다. 메인 스토리가 있으나, 이를 따르지 않고 자유롭게 다른 활동을 즐기는 것도 가능하다.▲ 더 버스틸링 월드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영상출처: 게임 공식 유튜브 채널)먼저 농사를 짓거나 상인이 되어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다.농장에서는 60종 이상의 식물을 재배하고, 30종 이상의 동물을 길들인다. 동물은 단순히 기르는 것 외에도 전투에 출전시키거나 노동에 동원한다. 당나라 때부터의 그림과 자료를 기반으로 한 건축, 수공예∙요리∙방직∙제련 등을 갖춘 물건 제작, 마련한 제품을 판매하는 상점 운영도 먀련된다.강호 탐험도 빠지지 않는다. 영상에 줄을 걸어 건물 사이를 빠르게 오가는 이동, 도시 곳곳에 있는 보물을 찾거나 비밀통로를 발견 활동이 나온다. 무술 비법을 찾으면 전투력을 높일 수도 있다. 이를 토대로 주요 인물을 암살하거나, 전쟁에 나선다. ▲ 농사부터 전투까지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사진출처: 스팀 공식 페이지)도시를 운영하는 길도 열려 있다. 근거지를 설립하거나, 다른 근거지를 차지하여 세력을 확장해간다. 군사, 문화, 경제, 기술 등 여러 정책을 일으켜 도시를 균형 있게 발전시킬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적대세력과의 전쟁이나 우호적인 세력을 확보하는 외교도 경험한다.각 도시는 탐험할 수 있는 마을, 들판, 상점, 주점 등을 갖췄고, 본연의 성격, 생활, 가족, 사회적 관계를 구축한 여러 주민이 살아간다. 유저 선택에 따라 게임 속 세계와 주민들의 삶도 달라지기에 이를 살펴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가 될 것으로 보인다.아울러 개발진은 옛 기록과 그림을 기반으로 침대나 가구 등 게임에 필요한 에셋 5,000여종을 수작업으로 제작 중이며, 중국 복식도 최대한 사실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설명했다.폭넓은 자유도를 앞세운 더 버스틸링 월드는 작년 12월에 처음 공개됐고, 1년 뒤인 지난 30일에 게임 플레이 프로모션 영상을 선보이며 눈길을 끌었다. 특히 스팀을 통해 공식 한국어 지원을 예정하여 국내 게이머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다만 아직 출시 일정이 발표되지 않았다. ▲ 탐험할 수 있는 여러 지역이 열린다 (사진출처: 스팀 공식 페이지)
console 2025-02-05
게임뉴스
[겜ㅊㅊ] 한 해를 보내며, 차분한 명상 힐링게임 6선
※ [겜ㅊㅊ]은 매주 특별한 주제에 맞춰 게이머들이 즐기기 좋은 게임을 추천하는 코너입니다.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저뭅니다. 2024년은 특히 연초부터 연말까지 여러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즐겁고 행복한 일도 있었지만, 경악스럽고 가슴 아픈 일들도 많았죠. 일반적으로 한 해를 마무리 할 때는 왁자지껄한 파티와 함께 떠들썩하게 보내지만, 올해만큼은 오히려 마음을 가라앉히고 차분히 다음해를 맞이하는 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그런 의미에서 이번 [겜ㅊㅊ]에서는 마음을 다스리고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게 돕는, 이른바 명상에 도움되는 힐링게임들을 모아봤습니다. 모두 스팀에서 ‘매우 긍정적’ 이상의 유저 평가를 받은 우수한 게임들이며, 겨울 할인 기간인 만큼 저렴한 가격대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1. 락 라이프: 더 락 시뮬레이터(Rock Life: The Rock Simulator)‘락 라이프: 더 락 시뮬레이터’는 제목만 보면 마치 락 음악과 관련된 게임 같지만, 실상은 바위를 바라보는 단순한 게임입니다. 그럼에도 ‘압도적으로 긍정적(95% 긍정)’이라는 우수한 스팀 유저 평가를 기록했죠. 플레이어는 잔잔한 음악과 함께 돌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바위 모양을 바꾸거나, 배경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며, 무려 친구와 함께 플레이하면 두 개의 돌을 동시에 바라볼 수 있는 놀라운 기능까지 제공합니다.돌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꾸밀 수도 있습니다. 크레용으로 칠하거나, 장난감 눈 모양을 달아 줄 수 있으며, VR을 씌울 수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돌 경주, 돌 쌓기 등 부가 콘텐츠도 제공하며, 조작 없이 돌이 굴러가고 쌓이는 모습을 바라보며 감상에 빠질 수 있습니다. 무료게임이며, 한국어를 지원하지는 않지만 복잡한 내용이 없는 만큼 쉽게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돌을 바라보는 게임 '락 시뮬레이터'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락 라이프: 더 락 시뮬레이터 업데이트 영상 (영상출처: BGNB 공식 유튜브 채널)2. 씨셸(Seashell)‘씨셸’은 어릴적 모래사장에서 조개 껍데기를 주워 장신구를 만들던 추억이 떠오르는 시뮬레이션게임입니다. 플레이어는 아름다운 모래사장을 바라보며 시간에 따라 떠밀려오는 조개 껍데기를 주울 수 있습니다. 추운 한국 겨울 바다와 다른 따뜻하고 파도 소리와 잔잔한 배경음이 들려오는 모래사장은 덤입니다.각 조개 껍데기는 실제와 유사할 정도로 세밀하게 구현됐으며, 수집할 때 마다 조개의 특징, 스케치, 크기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개 수집이 취미인 게이머에게 추천할 수 있으며, 그저 파도 소리와 함께 밀려오는 조개를 바라보며 명상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격은 4,400원으로 저렴하며,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해변에서 조개를 모으는 '씨셸'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씨셸 공식 영상 (영상출처: 하이 티 프로그 공식 유튜브 채널)3. 온 트랙(On Track)‘온 트랙’은 기차 안에서 풍경을 감상하는 무료게임입니다. 전반적인 기차와 자연 배경은 애니메이션 풍 그래픽으로 구현됐으며, 아름다운 음악도 함께 감상할 수 있습니다. 창문 아래에는 설정 창과 함께 간단한 메모 기능도 지원해 업무 보조 프로그램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지만, 한국어 입력은 가능합니다.온 트랙만의 독특한 요소는 기차라는 배경을 훌륭하게 구현했다는 점입니다. 처음 게임을 시작하면 목적지, 걸리는 시간, 시간마다 울리는 경적 등을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게임을 시작하면 기차가 달리는 속도, 밤 낮의 변화를 설정할 수 있으며, 기차가 달리는 소리, 사람들이 떠드는 소음, 기타 잡음 등도 조절 가능합니다. 이 덕분인지 스팀에서 ‘매우 긍정적(95% 긍정)’ 유저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기차 밖을 바라보며 감상하는 '온 트랙'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온 트랙 출시일 공개 영상 (영상출처: 기가탱크 3000 공식 유튜브 채널)4. 버추얼 인터랙티브 파이어플레이스(Virtual Interactive Fireplace)모닥불이나 장작을 피우며 나무가 타들어가는 모습을 멍하니 바라보며 즐기는 것을 ‘불멍’이라고 합니다. ‘버추얼 인터랙티브 파이어플레이스’는 이런 불멍을 구현한 시뮬레이션입니다. 플레이어는 그저 모닥불을 바라보며 멍하니 생각에 잠길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모닥불과 사물은 고전풍 픽셀 그래픽으로 아름답게 구현됐으며, 배경 음악이 없어 모닥불이 타들어가는 소리만을 온전하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소소한 상호작용 기능이 구현됐습니다. 플레이어는 컵, 그림 등으로 모닥불 주변을 장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처음 게임을 시작하면 직접 성냥을 들어 모닥불에 불을 붙어야 하며, 우유팩, 뭉친 종이, 종이 가방 등을 모닥불에 넣고 불장난을 칠 수도 있습니다. 무료게임이며, DLC로 귀여운 고양이를 단돈 3,400원에 판매해 함께 불멍 및 명상을 즐길 수 있습니다.▲ 불멍을 즐기는 '버추얼 인터랙티브 파이어플레이스'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버추얼 인터랙티브 파이어플레이스 출시 영상 (영상출처: 스크립트 오션 게임즈 공식 유튜브 채널)5. 플레인: 더 메디테이션 게임(PLAYNE: The Meditation Game)‘플레인: 더 메이테이션 게임(이하 플레인)’은 제목처럼 명상에 대한 진지한 게임으로, 여우 선생님의 명상학 개론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 모드에서는 여우 선생의 안내에 따라 호흡법, 명상법 등을 차근차근 배웁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원하는 배경 화면을 설정하고 자유롭게 명상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가 지원되지 않아 영어 사전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부분은 다소 아쉬운 점이죠.플레인의 독특한 특징은 플레이어의 명상 수행과 함께 배경이 되는 지역도 발전한다는 점입니다. 여우의 안내에 따라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그 때마다 조금씩 주변 지역의 풀과 자연이 자라납니다. 매일 수행하다 보면 작았던 나무가 아름드리 거목이 되는 과정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스팀에서 ‘압도적으로 긍정적(95%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정가는 1만 6,300원, 겨울 할인 기간 동안 80% 할인된 3,300원에 판매 중입니다.▲ 여우 선생과 함께 명상을 배우는 '플레인' (사진제공: 스팀 상점 페이지)▲ 플레인: 더 메디테이션 게임 플레이 영상 (영상출처: 비스마야 공식 유튜브 채널)6. 피싱 디 어비스(Fishing The Abyss)‘피싱 디 어비스’는 컴퓨터 화면 옆에 두고 구경할 수 있는 낚시게임입니다. 전반적으로 흑백에 가까운 고요한 배경에서 한 귀여운 로봇이 자동으로 낚시를 시작합니다. 플레이어는 이를 가만히 구경할 수도 있지만, 클릭해 그 속도를 빠르게 할 수도 있습니다. 물고기를 낚으면 포인트를 획득하며, 이를 소모해 레벨을 올리면 더 깊은 바닷속으로 낚싯줄을 내릴 수도 있습니다.플레이어가 할 일은 많지 않습니다. 그저 귀여운 로봇이 계속해서 심해 생물을 낚는 것을 관찰할 뿐입니다. 특히 어두운 바다를 낚싯줄이 하염없이 내려가는 풍경을 보고 있으면, ‘세월을 낚고 있다’는 강태공의 일화가 떠오릅니다. 전반적으로 고요한 배경음과 ASMR처럼 울려퍼지는 물 소리, 낚싯대 소리가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히는 것은 덤입니다. 피싱 디 어비스는 한국어를 지원하며, 스팀에서 정가보다 30% 저렴한 5,460원에 판매 중입니다.▲ 심해 물고기를 낚는 '피싱 디 어비스'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 피싱 디 어비스 출시 영상 (영상출처: 개발자 umaaaaaa 공식 유튜브 채널)
console 2025-02-05
게임뉴스
슬라브 배경 공포 비주얼 노벨 '베인부쉬' 호평
▲ 베인부쉬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피크민 장난감지난 25일 스팀으로 출시된 비주얼 노벨 공포게임 '베인부쉬(Banebush)'가 '매우 긍정적(99% 긍정)' 평가와 함께 호평 받았다.베인부쉬는 러시아 및 슬라브 지방을 배경으로 하는 공포게임이다. 플레이어는 추적과 박해를 피해 숨은 주인공 알렉세이가 되어 어린 시절 생활했던 마을로 돌아간다. 그곳에서 어릴 적 할머니에게 들은 전래 동화 속 괴물와 조우한다.▲ 베인부쉬 트레일러 (영상출처: 힌터랜드 무드 공식 유튜브 채널)게임의 타이틀명인 '베인부쉬'는 할머니가 들려준 옛 이야기에 등장하는 괴물, 혹은 악마를 지칭한다. 마을 숲 깊은 곳으로 들어가면 새가 울음을 멈추고 나무들이 머리를 조아리는 강력한 괴물 베인부쉬를 만나게 된다. 러시아 민담에서 등장하는 숲의 정령 '레쉬'의 한 종류로 더 사악하고 강력하며, 영역을 침범하는 여행자들은 미쳐버리거나 숲을 떠나지 못한 채 영양분이 되어버린다.게임의 특징은 붉은 빛이 매우 강한 시각 효과와 배경이다. 거친 펜 선으로 묘사된 배경과 사물을 통해 긴장감과 공포 분위기를 강렬하게 전달하며, 비현실적일 정도로 붉은 색이 강조되어 불길함을 강화한다. 이를 불편하게 여기는 유저들을 위해 전반적인 채도를 낮추는 설정도 지원한다. ▲ 붉은 색감과 거친 펜 선 묘사가 특징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스토리는 총 3개 챕터로 구성됐으며, 플레이에 따라 서로 다른 결말에 도달한다. 플레이타임은 약 2시간으로 다소 짧지만, 모든 결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복 플레이가 요구된다. 또한 퍼즐의 해결 방법, 대화 선택, 상호작용 등에 따라 여섯 개의 결말 중 하나로 이어진다.게임은 31일 10시 기준 유저 평가 '매우 긍정적(99% 긍정)'을 기록 중이다. '러시아 마을 분위기가 잘 구현됐다', '무섭고 기대하지 않은 엔딩에 놀라웠다', '멋지고 가성비 뛰어난 게임' 등 호평이 나온다.<svg style="border-block: initial !important; border-inline: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start-end-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start-radius: initial !important; border-end-end-radius: initial !important; overflow-block: initial !important; overflow-inline: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block: initial !important; overscroll-behavior-inline: initial !important; 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margin-inline: initial !important; 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block: initial !important; scroll-padding-inline: initial !important; inset-block: initial !important; inset-inline: initial !important; block-size: initial !important; min-block-size: initial !important; max-block-size: initial !important; 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in-inline-size: initial !important; max-inline-size: ini
console 2025-02-05
게임뉴스
처음
1
페이지
2
페이지
열린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6
페이지
7
페이지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맨끝
Guest
로그인
회원가입
신작 게임
게임 뉴스
추천/리뷰/공략
게임